민들래~~~효능
▶ 위염을 다스리고 암세포를
죽이며 간은 보호하고 머리카락 은 검게하는 민들레,우리 나라 천지에 깔려 있는것이 민들레이지만 사람들은 민들레가 그리 중요한
약재 인줄을 모르고 지낸다.
민들레는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중국,일본,인도,유럽 아메리카의 인디언들 까지도 중요한 약으로 썼다. 옛 의서를 대강 찾아봐도 민들레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을 만큼 여러 질병에 효과가 뛰어난 약초이다.
민들레는 맛이 조금 쓰고 달며 약성은 차다. 독이 없으며 간, 위에 들어간다.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젖을 잘 나오게
하며, 독을 풀고 피를 맑게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여성의 유방에
종기 멍울이 생겨 염증이 된 것과 종기가 나서 쑤시고 아픈것을 치료한다. 종기를 치료하고 열로 인한 독을 풀어 주며 땀을 잘 나게 하고 변비를 치료한다. 또한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하고 갖가지
눈병에도 효과가 있다. 각기, 수종,천식,기관지염, 임파선염, 늑막염, 위염, 간염,담낭염, 에도 좋으며 식도가 좁아 음식을 먹지 못하는것,
요로감염, 결핵, 소화불량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민들레는 갖가지 질병에 두루 효과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방암, 유종의 고름을 없애는 힘이 매우 강하다. 또 산모의 젖을 나오게 하는데에도 효과가 크다. 민들레는 맛이 쓰다. 그런 까닭에 병충해의 피해를 거의 받지
않고 생명력이 몹시 강하여 도시의 시멘트 벽틈에서도 잘 자란다.
맛이 쓴 식물은
어느것 이나 뛰어난 약성을 지니고 있다.
민들레는 옛부터 동서양 어디에서나 먹을 거리나 민간약으로 널리 다양하게 써 왔다. 이른봄 풋풋한 어린 잎은 국거리로도 쓰고 나물로 무쳐서
먹는다. 쓴맛이 나는데 이 쓴맛이 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염이나 위궤양도 치료한다.
뿌리는 가을이나 봄에 캐서 된장에 박아
두었다가 장아찌로도 먹고 김치를 담가서도 먹는다. 우엉과 함께 조려 먹어도 맛이 있고 기름에 튀겨 먹어도 일품이다. 민들레 꽃이나 뿌리는 술을
담근다. 꽃이나 뿌리에다 2∼2.5배의 소주를 부어서 20일쯤 두면 담황색으로 우러난다. 여기에 설탕이나 꿀을 넣고 한두 달 숙성시켰다가 조금씩
마시면 강정·강장제로 효과가 있다. 민들레를 유럽에서는 채소로 많이 먹는다. 프랑스 요리에 민들레 샐러드가 있다.
민들레를 밭에
가꾸어서 이른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내어 상자 같은 곳에 밀식한 다음 캄캄한 동굴 같은 곳에 두어 싹을 키운다.
우리나라에서 콩나물을
기르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해서 자란 하얀 싹을 날로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데, 쓴맛이 거의 없고 향기가 좋아 인기다.
서양에서
민들레로 만드는 요리가 열 가지도 넘는데 이중에서 민들레 커피는 오래전부터 인기가 좋다. 민들레 뿌리를 말려 볶아서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마시는 것인데, 맛과 빛깔은 물론 향기까지 커피와 비슷하여 민들레 커피라고 부른다. 커피처럼 자극적이지 않고, 카페인 같은 유해물질도 없으며,
습관성·중독성도 없을 뿐더러 영양이 풍부하고 몸에 매우 유익하므로 한번 널리 마셔 봄직하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2∼4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흰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나다.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 민들레가
대부분이다. 서양 민들레보다는 토종 민들레, 흰 꽃이 피는 흰민들레가 제일 약효가 좋다.
민들레를 약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한다.
■ 위염, 위궤양 등의 위장병
민들레 생잎을 깨끗하게 씻어서 씹어 먹는다. 쓴맛이 나지만 습관이 되면 그런 대로
먹을 만하다. 뿌리째 캐서 그늘에 말렸다가 진하게 달여서 먹어도 좋다.
■ 만성간염, 지방간 등의 간질환
민들레를 뿌리까지
캐서 그늘에서 말린 것 30-40그램에 물 1되(1.8리터)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누어 마신다. 황달이나
간경화증 환자가 치유된 보기가 더러 있다.
■ 변비, 만성장염
4-5월에 민들레 뿌리를 캐서 말렸다가 가루 내어 한번에
10-15그램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같은 양의 꿀과 섞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더운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
■
천식, 기침
민들레를 생즙을 내어 한번에 한 잔씩 하루 세 번 마신다.
■ 산모의 젖이 잘 안 나올 때
민들레 뿌리를
물로 진하게 달여서 마시거나 생잎을 무쳐 먹는다.
■ 신경통
민들레의 꽃, 잎, 줄기, 뿌리를 달여서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한약 재료로 쓸때는 포공영이라 쓰며 전초를 약으로 쓴다
(뿌리는 민간 요법에서만 이용한다)
민들레
학명 : Taraxacum mongolicum H. Mazz.
과명 :
국화과
성분 : 국내산- taraxasterol, choline, sterol, inulin,
pectin
서양민들레- taraxol, taraxerol, B-sitosterol
생지 : 양지 바른
들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利尿(이뇨), 散結(산결)의 효능.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淋巴腺炎(임파선염), 나력, 정독창종, 급성결막염,
感氣發熱(감기발열), 급성편도선염, 급성기관지염, 胃炎(위염), 肝炎(간염), 膽囊炎(담낭염), 尿路感染(요로감염)을
치료
유사종 : 좀민들레, 산 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번식: 실생- 씨가 날아가기 직전에
채취했다가 봄의 3월 중에 파종
[포공영(蒲公英)]
【이명】 황화지정, 내즙초, 지하화, 육영, 지정, 포공정, 구누초, 황화랑,
구유
초, 복공영,
부공영
【기원】 국과(국화과 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민들레 또는
동속식물의
전초를 건조한
것이다. 엽은 근으로부터 총생하며 도난상의
피침형이
며 변연은 열하지
않고 혹은 불규칙한 우상으로 분열하였다. 선단은
첨
하고 세치아상으로
되었다. 봄에 담황색의 설상화가 피고 방추상이
희
고 가는 관모가 있는
수과를 맺는다.
【학명】 Taraxacum platycarpum Dahlsted
【형태】 본품의 엽은 장타원형을 이루고 암녹갈색을
정하며 결할이 심하고 근은
방추상을 이룬 짧은 섬유근인데 길이가 10~20cm요, 직경이
0.5~2.5cm
이다.
외면은 갈색을 정하고 깊은 종구와 추문을 나타내고 파절면은
평
탄하다. 본품은
백색 또는 담갈색의 관모를 띤 과실과 또 황색의
두상
화가 함께 달려
있다.
【산지】 전국 각지의 원야에 분포한다.
【성분】 Inulin, Laevulose, Cluytianol, Taraxcin,
Taraxacerin,
Inosite,
Resin,
Asparagin, P-Hydroxyphenyl acetic acid, 3.4-Dioxy
cinnamic
acid,
Homotaraxasterol, Taraxasterol, Xanthophyll, Cholin 및
Vita-
mine A, B,
C 등을 함유하였다.
【성미】 성은 평(한) 무독하고 미는 감고하다.
【귀경】 입신경 겸입비위이경(해독산결지품)
【주치】
화열독, 해식독, 청종핵, 치정독유옹, 통림, 찰아, 오수발, 백즙도악자
【해설】 포공영은 수의 충기를 득하고 생하였는데 양중의
음에 속한다 성이 승
보다
강이 많고 해독산결의 양품이 되고 양명경에 입하여 열결을
산하
고 옹독을 소하여
부인일절유증의 요약이 된다.
안컨데 본품은 건위소염 해열해독제로서 해열에 효가 있고
소량으로는
고미건위제가 되어
능히 소화를 촉진하고 소화불량, 위염, 위통에
용
하여 소염지통의 효가
있으며 또한 정창종독유선염, 임파선염등을
치한
다.
외용으로는 선초를 타즙하여 부도하면 사교독을 해한다.
유두는
간에 속하고 유방은
위에 속하고 유옹과 유암은 다 열성혈체로
인하여
생하므로 차약이
간위이경에 직입하여 청열파혈시키므로
부인일절유증
에 특효약이
된다.
【수치】 세정하여 세좌하여 용한다.
【용량】 12~20g
【금기】 약성이 화평하여 심한 금기는 없으나 오직 외증의
만종무두와 불적불종
자는
금용하고 기성이 한하여 음저에 이하지 못하고 또 외증기궤자,
이
질에는 복용을
기한다.
【배합예】
1.
포공영에 과루인, 몰약을 배합하여 유옹종통을
치하고,
2. 금은화, 연교를
배합하여 신열창독을 치하고,
3. 대황, 국화를 배합하여 정독수종을
치하고,
4. 토복령,
금은화, 감초를 배합하여 매독을
치하고,
5. 당귀, 황금,
금은화,길경,천궁,감초를 배합하여 두면창저를
치하고,
6. 금은화,
지부자, 적작약, 목단피를 배합하여 습열독창을
치하고,
7. 금은화, 인삼,
당귀, 감초, 대황,천화분을 배합하여 낭옹을
치하고,
8. 하길초, 패모,
연교, 백지, 괄루근, 귤엽, 감초,
두구,서분,산두근,
산자고를 배합하여 일절 유옹종통, 유암을 치한다.
민들레는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유럽, 아메리카의 인디언들까지도 중요한 약으로 썼다. 옛 의서를 대강 찾아봐도 민들레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을 만큼 여러 질병에 효과가 뛰어난 약초이다.
민들레는 맛이 조금 쓰고 달며 약성은 차다. 독이 없으며 간, 위에 들어간다.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젖을 잘 나오게 하며, 독을 풀고 피를 맑게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여성의 유방에 종기 멍울이 생겨 염증이 된 것과 종기가 나서 쑤시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종기를 치료하고 열로 인한 독을 풀어 주며 땀을 잘 나게 하고 변비를 치료한다. 또한 흰머리를 검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갖가지 눈병에도 효과가 있다. 각기, 수종, 천식, 기관지염, 임파선염, 늑막염, 위염, 간염, 담낭염에도 좋으며 식도가 좁아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 요로감염, 결핵, 소화불량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민들레는 갖가지 질병에 두루 효과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방암, 유종의 고름을 없애는 힘이 매우 강하다. 또 산모의 젖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도 효과가 크다. 민들레는 맛이 짜다. 그런 까닭에 병충해의 피해를 거의 받지 않고 생명력이 몹시 강하여 도시의 시멘트 벽틈에서도 잘 자란다.
맛이 짠 식물은 어느 것이나 뛰어난 약성을 지니고 있다. 민들레는 옛부터 동서양 어디에서나 먹을 거리나 민간약으로 널리 다양하게 써 왔다. 이른봄 풋풋한 어린 잎은 국거리로도 쓰고 나물로 무쳐서 먹는다. 쓴맛이 나는데 이 쓴맛이 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염이나 위궤양도 치료한다.
뿌리는 가을이나 봄에 캐서 된장에 박아 두었다가 장아찌로도 먹고 김치를 담가서도 먹는다. 우엉과 함께 조려 먹어도 맛이 있고 기름에 튀겨 먹어도 일품이다. 민들레 꽃이나 뿌리는 술을 담근다. 꽃이나 뿌리에다 2∼2.5배의 소주를 부어서 20일쯤 두면 담황색으로 우러난다. 여기에 설탕이나 꿀을 넣고 한두 달 숙성시켰다가 조금씩 마시면 강정·강장제로 효과가 있다. 민들레를 유럽에서는 채소로 많이 먹는다. 프랑스 요리에 민들레 샐러드가 있다.
민들레를 밭에 가꾸어서 이른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내어 상자 같은 곳에 밀식한 다음 캄캄한 동굴 같은 곳에 두어 싹을 키운다. 우리나라에서 콩나물을 기르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해서 자란 하얀 싹을 날로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데, 쓴맛이 거의 없고 향기가 좋아 인기다.
서양에서 민들레로 만드는 요리가 열 가지도 넘는데 이중에서 민들레 커피는 오래전부터 인기가 좋다. 민들레 뿌리를 말려 볶아서 가루를 내어 물에 타서 마시는 것인데, 맛과 빛깔은 물론 향기까지 커피와 비슷하여 민들레 커피라고 부른다. 커피처럼 자극적이지 않고, 카페인 같은 유해물질도 없으며, 습관성·중독성도 없을 뿐더러 영양이 풍부하고 몸에 매우 유익하므로 한번 널리 마셔 봄직하다.
민들레는 세계 도처에 2∼4백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 자라는 흰민들레가 가장 약성이 뛰어나다.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민들레는 서양에서 건너온 서양 민들레가 대부분이다. 서양 민들레보다는 토종 민들레, 흰 꽃이 피는 흰민들레가 제일 약효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