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접흡연
* 주류연(mainstream smoke) - 흡연자가 들이마신 후 내품는 연기
* 부류연(sidestream smoke) - 타고 있는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연기
① 독성 화학물질의 농도는 주류연보다 높고 담배연기 입자가 더 작아서 폐의 더 깊은 부
분에 침착
② 모든 연기 내 독성성분이 부류연에 2-3배 정도 더 많음 - 일산화탄소 8배, 암모니아
73배, 디메칠 나이트로소아민 52배, 메칠나프탈렌 28배, 아닐린 30배, 나프탈아민 39배
* 간접흡연 - 부류연이 85%, 주류연이 15%
* 담배연기에 민감한 사람중 69%가 안구자극 증상을 나타내고, 29%가 코증상, 32%가 두
통, 25%가 기침
* 간접흡연에 노출된 소아와 청소년은 천식 위험이 높아짐
* 흡연자의 배우자는 비흡연자의 배우자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30%, 심장병에 걸릴 위
험은 50% 더 높음
* 담배를 피우는 부모를 가진 어린이와 그렇지 않은 어린이의 상기도 감염률은 담배를 피
우는 집의 영아의 급성호흡기 질환 감염률이 5.7배나 높으며, 폐암발생률도 2배
천식, 기침, 중이염 등의 발병률도 부모가 담배를 피우는 어린이에게서 6배나 높고 폐기
능도 전반적으로 낮음
* 임신한 여성이 간접흡연을 하게 되면 뱃속의 태아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장애 → 유산, 전
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조기파막,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빈도가 높아짐
◆ 간접흡연과 소아
유아
* 유아들의 호흡기는 미성숙 상태이므로 간접흡연으로 손상을 입을 위험
* 흡연 대사물인 코티닌이 간접흡연에 노출된 유아의 타액과 뇨에서 검출
* 모친이 흡연자 - 100명당 입원율이 13.1명(비흡연 모친 - 9.5명)
* 흡연 부모의 유아가 폐렴과 기관지염이 더 잘생김
소아
* 흡연부모의 아이 - 활동이 적고 병약,
흡연양이 많을수록 병으로 누워지내는 시간이 많음
* 부친이 담배를 피우는 아이들 - 경도의 폐기능 손상, 모친흡연이 증가할수록 FEV1 감소
폐기능의 감소가 간접흡연으로 인한 소아의 호흡기 질환을 높임
* 소아기의 폐성장의 감소 → 최고 폐성장을 감소시키고 성인이 되어 흡연시 폐기능 감소
속도가 빨라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걸리기 쉽게 됨
* 흡연가정의 소아가 성장하면 흡연가가 되기 쉽움
* 간접흡연에 노출시 천식 위험이 높음
◆ 간접흡연과 성인폐암
* 간접흡연 연기도 발암물질을 함유 - 폐암 생성에는 노출의 역치가 없기 때문에 간접흡연
도 직접흡연과 마찬가지로 폐암을 유발
* 흡연자 부인의 폐암 사망률 - 1.8배
◆ 간접흡연과 심폐질환
* 흡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 처폐암, COPD, 허혈성 심질환 같은 심폐질환 등
* 심폐질환의 유병율이 폐암보다 높음 → 간접흡연의 건강 유지, 증진에 대한 사회적 영향
은 더 크게 됨
* 간접흡연 - 혈압증가, 서맥, 말초혈관 수축 등의 급성 심혈관 작용, 협심증을 악화, 흡연자의 배우자는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비교 위험도가 1.3
* 흡연가의 혈소판보다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가의 혈소판이 더 민감 → 혈소판 응집을 증가시키고 동맥내피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허혈성 심질환을 유발
'건강 지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맞이꽃 (Evening Primrose) (0) | 2006.09.13 |
---|---|
◆ 흡연이 보조적 원인으로 작용하는 암 (0) | 2006.09.07 |
금연 (0) | 2006.09.07 |
산야초효소 100가지 (0) | 2006.09.07 |
토마토 의효능 (0) | 2006.09.07 |